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통조림 유통기한 지난것, 먹어도 괜찮을까?

by ffeee959 2025. 4. 28.

 

집안 정리를 하다 보면 한두 개쯤은 꼭 발견되는 통조림. 간편하게 먹을 수 있어서 비상식량으로 쟁여두지만, 가끔은 깜빡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이럴 때 '먹어도 괜찮을까?' 하는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텐데요. 오늘은 통조림 유통기한이 지난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먹어도 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통조림 유통기한, 꼭 지켜야 할까?

통조림은 특수한 방법으로 살균과 밀봉 처리를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다른 식품에 비해 유통기한이 상당히 긴 편입니다. 보통 2년에서 5년 정도로 설정되지만, 이는 제조사가 맛과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실제로는 유통기한이 지나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 품질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건이 있습니다. 통조림이 변형 없이 보관된 경우에 한해서입니다.

 

 

유통기한 지난 통조림, 먹을 수 있는 경우

 

유통기한이 지나더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먹는 것이 비교적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용기 변형이 없는 경우: 통조림 표면이 찌그러지거나 부풀어오르지 않았다면 세균 번식 가능성이 낮습니다.
  • 보관 상태가 양호한 경우: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서 직사광선을 피하며 보관했다면 변질 위험이 줄어듭니다.
  • 개봉 전인 경우: 통조림은 개봉 전에는 외부 공기와 완전히 차단되어 있어 오염 가능성이 적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상태가 좋아 보여도 신중하게 점검하고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품안전나라 홈페이지에서도 통조림 보관 및 소비기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먹으면 안 되는 통조림의 특징

 

반대로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절대 섭취해서는 안 됩니다.

  • 통조림이 부풀어올랐다: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한 것으로, 세균 번식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뚜껑이나 바닥이 심하게 찌그러졌다: 밀폐력이 떨어졌을 가능성이 있어 세균 오염 위험이 있습니다.
  • 이상한 냄새나 색깔 변화: 내용물을 확인했을 때 평소와 다른 냄새나 색이 난다면 이미 부패가 진행된 것일 수 있습니다.
  • 녹이 슬거나, 누수가 있는 경우: 통조림 표면이 녹슬거나 내용물이 새어 나왔다면 절대 섭취하지 마세요.

특히 식중독을 유발하는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같은 위험한 균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의심이 간다면 과감하게 폐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통조림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무엇이 다를까?

 

최근 식품업계에서는 소비기한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유통기한이 '판매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하는 반면, 소비기한은 '섭취해도 건강에 이상이 없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통조림 같은 경우, 유통기한이 지나도 품질에 큰 변화가 없으면 소비기한까지는 먹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소비기한은 아직 법적으로 표시 의무가 완전히 정착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직접 판단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조림의 경우 보관 상태가 정말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결론

 

통조림은 일반 식품보다 유통기한이 긴 만큼, 기간이 조금 지나도 괜찮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런 확인 없이 무작정 먹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외관 점검, 냄새 확인, 내용물 상태를 반드시 꼼꼼하게 살펴보고, 조금이라도 의심이 든다면 과감히 버리는 것이 안전합니다.

 

관련된 더 자세한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혹시 집에 유통기한 지난 통조림이 있다면, 오늘 이 글을 참고해서 꼭 안전하게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